학과소개
- 인사말
-
21세기 의료현장의 혁신을 가져올 핵심기술개발 인력양성
의공학(Biomedical Engineering, BME)은 공학적 원리 및 기술을 의료현장에 적용하는 첨단융합학문이며 유럽과 미국의 우수대학들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필요성을 인식하고 인재를 양성해왔습니다. 의공학은 4차 산업혁명시대 및 고령화시대가 도래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공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설계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
부경대 의공학전공은 국립대 최초로 2010년에 신설된 이후 선도적으로 교육과 연구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. 4차산업혁명의 큰 흐름에 맞는 교육혁신을 위한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(40억 규모)을 주관학과로서 추진해가고 있으며, BK21플러스 사업 및 318억 규모의 해양융복합 바이오닉스 소재 상용화 기술개발 연구단을 운영하며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쌓아가고 있습니다.
최근 의공학 관련 분야에서도 4차산업혁명의 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빠른 변화 및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부경대 의공학전공은 이러한 기술적 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되어있습니다. 특히, 메이커스페이스, 플립드 러닝을 통해 의료영상 및 치료기기, 재생의학, 의공전산과 관련된 전문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며 대형대학병원, 정부출연연구기관, 국내?외 의료기기 및 제약회사에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고 있습니다. 부경대 의공학전공은 지속적인 교육 및 연구 혁신을 통해 국내 최고의 의공학 인재 양성을 위해 앞으로도 힘쓸 것입니다.
부경대학교 정보융합대학 스마트헬스케어학부 의공학전공주임
- 비전
-
- 2010년 전국 국립대 학부과정 최초 설립
- 입학정원 38명
- 재학생수 193명
- 전임교원 9명
- 2021년 부경대학교 학과평가 자연계열 전체 2위
- 2022년 부경대학교 학과평가 자연계열2위, 정보융합대학 1위
- 2010년 전국 국립대 학부과정 최초 설립
-
- 뛰어난 연구역량
- 318억 규모 국책사업 <해양생명공학사업> 선정
- 학과설립 후 9년간 총 연구비 125.7억, 교수1인당 평균 정부연구비 매년 4.2억(최근3년간 88.8억/7명/3년)
- 국제저널 논문 수: 학과설립 후 9년간 437편, 최근3년간 총 254편(교수1인당 매년 평균 12.1편)
- 학과설립 후 9년간 특허 131건: 국내특허 101건, 국제특허30건
- 기술이전: 최근 3년간 총 1억 4천만원(5건)
- 뛰어난 연구역량
-
- 혁신 의공학 교육 과정·방법·환경 구축
- 40억 규모 동남권 유일 국책사업 <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> 선정
혁신의공학 교육과정: 의공학?IT역량 동시에 키우는 융합전공 운영 : 의공학IT융합전공 운영
혁신의공학 교육방법: 플립드러닝, 블렌디드러닝 등 혁신교수법 적극적 도입 및 운영
혁신의공학 교육환경: 아이디어를 의논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러닝허브 및 메이커스페이스(283.5㎡) 학과 내 구축 - 학과 소속 2명의 원어민강사를 통한 의공실무영어 교육(6학기)
- 40억 규모 동남권 유일 국책사업 <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> 선정
- 혁신 의공학 교육 과정·방법·환경 구축
-
- 밀접한 교육-연구 연계 환경
- BK+융합협동과정소속 대학원생 수(교수16명) 74명, 의공학과(교수8명) 43명
- 2018년 학부정원(38)대비 대학원생수(43) 비율: 113%
- 2018년 동학과(의공학과) 대학원 진학률 23.1%(9/39)
- 대학원생 및 학부생의 높은 연구 실적: 학부 시절부터 교수의 연구실을 드나들며 실질적인 연구를 경함하고 논문의 공동 저자가 되거나, 다수 제 1저자 논문 발표
- 밀접한 교육-연구 연계 환경
-
- 교수-학생간 이해기반 수업 및 학생활동 지원
- 전체 학과생 교수-학생 세미나 운영
- 학생교육을 위한 의공학과 교수 1억원 기부
- 의공학관련 기업 현장견학 적극적 운영 및 지원
- 의공기기 컨퍼런스(KIMES) 참여 매년 지원
- 의공학과 학과 세미나 학기당 3 ~ 4회 개최: 기업 및 연구기관 실무자의 실질적인 정보 공유
- 의공학관련 교육 및 자격시험 지원: 의공기사·RA 교육 및 시험 등
- 교수-학생간 이해기반 수업 및 학생활동 지원
-
- 학생 주요 취업처
- 정부기관: 식약처.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, 한국과학기술연구원(KIST) 등
- 병원: 삼성병원, 서울아산병원, 경상대병원, 부산대병원 등
- 의료기기회사: 인튜이티브서지컬, GE, SIEMENS, MACROGEN, ZEISS, 오스템, 올림푸스 등
- 해외대학원 진학: University of Pennsylvania 등
- 학생 주요 취업처